문의/상담
010.6429.7760
대구무용사진촬영회  
소개+안내       이재봉 갤.       공지사항       예정/지난 촬영회       예약확인       단골질문+팁       포토갤러리-카페       오시는길
단골질문+팁 FAQ+TIP

재봉이가 전해 드리는 무용사진 촬영 팁... 몇 가지. ^^

 

 

대구에서 달성예술극장을 운영하며 무용사진을 찍고 있는 이재봉입니다.

무용을 많이 좋아하게 되어, 스스로 절반의 무용인이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음... 훌륭한 분들이 너무 많아, 감히 이런 글을 쓰기가 몹시도 부담스러웠습니다.

공연(무용)사진 촬영이 처음인 분들을 위해 몇 가지 팁을 들려 드립니다.

그저 지극히 개인적인 습관이라고 보셔도 되겠습니다. ^^

 

 

1. 

24-70mm 렌즈와 70-200mm 렌즈를 번갈아 사용합니다.

1대의 카메라에 두 개의 렌즈를 사용합니다.

카메라 기종은... 촬영하면서 셔터속도, 조리개, iso를 보지 않고 조작할 수 있는 카메라라면 모두 가능하다고 봅니다. 

 

2. 

매뉴얼 모드로 사진을 찍습니다. 공연 시작 전에...

ISO는 800  |  조리개는 3.2  |  셔터속도는 1/250

이렇게 설정해 두고 출발합니다.

191228 수정 - ISO는 노이즈와 연결되는 문제이니까, 취향에 따라 더 높일 수 있다고 봅니다.

중요한 것은 ISO, 조리개 값을 고정해 둔다는 것!

250809 추가 - 촛점은 AF로 놓습니다. 측광방식은 가운데 점 하나 있는 거.

 

3.

촬영을 시작하면 조명의 변화를 읽고자(?) 애를 많이 씁니다.

'이 부분의 조명은 셔터속도를 1/100으로 찍어야 되겠군.'

'저 구석은 조명이 거의 안 들어가니까... 1/60으로...'

'무대 중앙은 1/320까지 올려도 되겠군.'

시시각각 변하는 조명에 따라 셔터속도를 부지런히 조절하며 사진을 찍습니다.

 

4.

공연에 따라 조명이 어둡다 싶으면...

조리개를 2.8로 설정하기도 합니다.

최악의 경우에는 ISO를 1000까지 올리기도 합니다.

그 이상은 올려본 적이 없습니다. 

ISO로 어둠을 극복하면 자존심이 상하는 것 같아서... ㅡ.ㅡ 개인적인 입장입니다. ^^

191228 추가 - 최근 들어 ISO를 1250으로 놓고 찍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힘이 들어서!

큰 문제는 없는 듯합니다. 캐논 5D MarkⅢ 기준입니다. 

 

5. 

ISO 800을 기준으로 셔터속도를 1/250까지 올릴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런 공연 또는 상황은 드뭅니다.

(발레 공연에서는 종종 아주 좋은 조건이 주어지기도 합니다.)

 

6. 

움직이고 있는 무용수를 ISO 조절이 아닌 셔터속도 조절로 찍는 방법은?

무용수의 움직임을 파악하면 가능합니다.

계속 움직이고 있지만, 사이사이에 정지되는 동작이 있습니다. 정점 찾기!

다르게 생각하면 정지동작의 연속이라고 볼 수 있을 겁니다.

그 정지동작을 잡으면 셔터속도가 느려도 깨끗한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7.

무용공연에도 기승전결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흐름입니다.

기 - 조용한 음악에, 차분한 조명으로 시작되는 무대에서 무용수가 천천히 움직입니다.

승 - 사건이 벌어지고 음악이 조금씩 커지고, 조명도 변화가 많아집니다. 무용수의 움직임도 변화무쌍합니다.

전 - 클라이맥스. 음악 소리도 커지고, 조명도 밝아지고, 무용수의 움직임도 최대치가 됩니다.

결 - 인상을 남길 수 있는 한 장면으로 마무리가 됩니다.

 

8.

무용공연의 기승전결에 따라 셔터속도를 부지런히 조절해야 합니다.

 

9.

너무도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무용수가 정지동작을 보인다 해도, 사진을 찍는 사람의 몸이 흔들리면 안 됩니다. ^^

지형지물을 이용할 수도 있고, 최대한 안정감 있는 자세를 취해서 

카메라가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10.

찍는 데에 열중해서, 결과물 확인에 소홀하면 안 됩니다.

아무리 바빠도 조명이 바뀔 때마다 한두 장 찍고, LCD 화면으로 결과물을 확인해야 합니다.

안 그러면 잘못된 계산으로 인해 사진을 몽땅 버릴 수도 있습니다.

 

11.

저는 1시간 정도의 공연이면 2,000컷 정도의 사진을 찍는 같습니다.

혹시 모르니까 여분의 메모리와 배터리도 꼭 준비해 두셔야 합니다. ^^

250809 추가 - 미러리스 카메라로 바꾸면서 더 많이 찍습니다. ㅠ.ㅠ 1시간에 3~4000장?

 

 

* 무용사진은 분명히 다른 장르의 사진보다 찍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기회도 드물고, 기회를 잡았다 하더라도 제한된 조명 때문에 좋은 사진을 건지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 점이 무용사진의 매력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

 

* 공연장에서 직접 사진을 찍는 것 이상의 수업이 없을 줄로 압니다.

몸으로 부딪치면서 감을 잡으셔야 할 줄로 압니다. ^^

 

 

* 화이트밸런스는?

- 저는 기본 설정으로 두고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 셔터속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능력의 한계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신경을 쓸 수가 없습니다. ㅠ.ㅠ

- 일단 열씸히 찍고, 색감은 포토샵으로 보정을 합니다. ^^

250809 추가 - 공연장에 많이 쓰이는 조명기에 변화가 있는 것 같습니다. 3~4년 전부터 '텅스텐'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80~90% 정도. 

 

 

* ISO와 노이즈

- 카메라가 점점 좋아지고 있어 고감도의 ISO에서도 노이즈가 많이 생기지 않는다고 하던데...

- 여러 카메라를 써보지 않아 잘 모르지만...

- 고감도의 ISO에서 빛이 충분하면 노이즈가 생기지 않지만, 빛이 충분하지 않으면 노이즈가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반드시 노이즈가 없어야만 좋은 사진이라고 생각지는 않습니다.

- 경우에 따라 노이즈가 사진의 멋을 더할 수도 있다고 봅니다. 

 

 

* RAW 파일, JPG 파일?

- 질보다 양을 추구하기 때문에 JPG 파일로 촬영합니다.

- 작품 활동이 아닌 기록에 대한 책임감 때문에 RAW 파일로 찍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

※ 위 내용은 예전 홈페이지에서 2015년 10월 27일에 작성한 글을 수정, 보완한 글입니다.

 

.


..........
Copyright 2015. 대구무용사진촬영회. All rights reserved.
chumpan@naver.com / 053.628.1205 / 010.6500.1309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비슬로479길 50-7 달성예술극장
powered by artry.kr